챌린지
[오블완 챌린지] 2일차 - 헥사고날 아키텍처(육각형 아키텍처)
노는게제일좋아!
2024. 11. 8. 10:01
반응형
헥사고날 아키텍처
- 헥사고날 아키텍처는 애플리케이션 코어가 각 어댑터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특정 포트를 제공하기 때문에 '포트와 어댑터(ports-and-adapters) 아키텍처'라고도부른다.
- 육각형 안에는 도메인 엔티티와 이와 상호작용하는 유스케이스가 있다.
- 육각형에서 외부로 향하는 의존성이 없고, 모든 의존성은 코어를 향한다.
유스케이스(Use Case)
-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지브니스 로직을 표현하는 개념
- 헥사고날 아키텍처에서 유스케이스는 도메인 엔티티와 외부 인터페이스를 연결하는 중간 계층으로, 도메인 계층에 위치하면서도 외부에서 호출될 수 있는 진입점 역할을 한다.
유지 가능한 소프트웨어
- 의존성을 역전시켜 도메인 코드가 다른 바깥쪽 코드에 의존하지 않게 함으로써 영속성과 UI에 특화된 모든 문제로부터 도메인 로직의 결합을 제거하고 코드를 변경할 이유의 수를 줄일 수 있다.
- 출처: [만들면서 배우는 클린 아키텍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