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JanusWebRTCServer
- k8s #kubernetes #쿠버네티스
- vfr video
- 깡돼후
- terminal
- 겨울 부산
- mp4fpsmod
- JanusGateway
- 자원부족
- JanusWebRTC
- 오블완
- 티스토리챌린지
- PytestPluginManager
- taint
- tolerated
- PersistenceContext
- table not found
- 개성국밥
- 헥사고날아키텍처 #육각형아키텍처 #유스케이스
- Spring Batch
- 코루틴 컨텍스트
- 코루틴 빌더
- Value too long for column
- kotlin
- pytest
- preemption #
- JanusWebRTCGateway
- 달인막창
- python
- VARCHAR (1)
Archives
너와 나의 스토리
EC2란? 본문
반응형
EC2란?
-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 아마존닷컴의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 사용자가 가상 컴퓨터를 임대 받아 그 위에 자신만의 컴퓨터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 물리적인 자원을 대여해주는 것
- 특징:
- 우리가 원하는 만큼 자원의 크기를 선택하여 대여 가능
- OS 선택 가능
-> EC2라는 자원 안에 3개의 Node.js 앱 3개가 올라가 있다.
이런 식으로 자원을 하나 생성하고 그 내부에 논리적인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수 있는 것.
- EC2는 사용자가 아마존 머신 이미지(AMI)로 부팅하여 아마존이 "인스턴스"라 부르는 가상 머신을, 원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게하는 웹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스케일링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배치를 장려한다.
- 사용자는 필요하면 서버 인스턴스를 만들고 시작하고 종료할 수 있으며, 실행 중인 서버에 대해 시간 당 지불한다 -> elastic(탄력적인)이란 용어를 사용하는 이유
반응형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Bash로 local file을 GitHub에 업로드 (0) | 2020.05.05 |
---|---|
[AWS] RDS 연동 및 php로 테스트 (0) | 2020.04.21 |
[AWS] 서버 MySQL 연동 (0) | 2020.04.14 |
[AWS] EC2에 생성한 서버에 Node.js 애플리케이션 배포하기 (0) | 2020.04.06 |
httpie 설치 및 사용 / REST API 호출과 JSON format 데이터를 파싱해 활용할 수 있는 parser 코드 만들기 (0) | 2019.09.20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