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깡돼후
- 겨울 부산
- PytestPluginManager
- 코루틴 컨텍스트
- JanusGateway
- vfr video
- python
- Spring Batch
- 헥사고날아키텍처 #육각형아키텍처 #유스케이스
- 자원부족
- 오블완
- JanusWebRTCGateway
- preemption #
- pytest
- kotlin
- 달인막창
- terminal
- tolerated
- 코루틴 빌더
- PersistenceContext
- addhooks
- VARCHAR (1)
- 티스토리챌린지
- table not found
- JanusWebRTC
- mp4fpsmod
- 개성국밥
- taint
- JanusWebRTCServer
- Value too long for column
너와 나의 스토리
[컴퓨터 보안] Public Key Cryptography(공개키 암호) and RSA 본문
Public-Key Cryptosystems의 원칙들
- 공개키 암호는 대칭 암호가 해결하지 못한 두 가지 문제점을 풀기 위해 시도된 암호이다.
- Key distribution:
- key를 어떻게 안전하게 전달
- Digital signature (Nonrepudiation):
- 누가 보낸 메시지인지 확인할 수 있음을 보장
- Key distribution:
Public-Key Cryptosystems
- 대칭키 암호에서는 하나의 key를 공유해서 사용하는 것과 달리 공개키 암호에서는 public key와 private key 두 개의 key가 존재한다.
- public key는 말 그대로 공개된 키이며, private key는 자신만 알고 있는 key이다.
-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 상황 1. Bob이 Alice한테 암호문을 보내려고 한다.
- 목적: 암호화 및 복호화
Bob은 공개되어 있는 Alice의 public key로 plaintext를 암호화하여 Alice에게 보낸다.
Alice는 보유 중인 본인의 private key로 해당 암호문을 복호화하여 plaintext를 얻어낸다.
여기서 public key와 Encryption/Decryption algorithm은 공격자가 알 수 있다.
- 상황 2. Bob이 Alice한테 계약서 보내려고 함.
- 목적: 서명 생성 및 확인 (Nonrepudiation을 위해)
Bob은 자신의 private key를 이용해 plaintext를 암호화하여 Alice한테 보낸다.
Alice는 Bob의 public key를 이용해 암호문을 복호화하여 plaintext를 얻어낸다.
제대로 된 plaintext가 출력되었다는 것은 Bob이 보낸 계약서가 맞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가 중간에 변조되지 않았음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Integrity(무결성) 또한 확인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전자서명) Integrity, Authentication, Nonrepudiation을 모두 해결할 수 있다.
Conventional Encryption vs Public-Key Encryption
Conventional Encryption | Public-Key Encryption | |
작동을 위해 필요한 것 | 1. 같은 key와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encryption/decryption한다. 2. 송수신자가 동일한 key와 알고리즘을 공유한다. |
1. 한 쌍의 key를 가지고, 하나로는 encryption, 다른 하나로는 decryption한다. 2. 송수신자는 각각 매칭되는 key쌍을 나눠가진다. |
보안을 위해 필요한 것 | 1. key는 비밀로 유지되야한다. 2. key만 비밀로 유지된다면 메시지 해석할 수 없어야한다. (암호 깨지지 않아야한다) 3. 알고리즘과 암호문 샘플을 알아도 key를 알 수는 없어야한다. |
1. 둘 중 하나의 key(Private key)는 비밀로 유지되어야한다. 2. Private key가 비밀로 유지되면 암호는 깨지지 않아야한다. 3.알고리즘과 암호문 샘플을 알아도 private key를 알 수 없어야 한다. |
공개키 암호: 인증(Authentication)과 기밀성(Confidentiality)
- 상황: Alice가 Bob한테 메시지를 보낸다고 하자.
- 암호문(Z) 생성: plaintext -> Alice의 private key로 암호화(인증을 위해) -> Bob의 public key로 암호화 (기밀성을 위해)
- 즉, 암호문(Z)은 다음과 같이 암호화되어 있다.
- 이를 해독하기 위해서는 겉부터 복호화한다.
Applications for Public-Key Cryptosystems
- 공개키 암호 시스템의 용도 3가지
- Encryption/Decryption
- 송신자는 수신자의 public key로 메시지를 암호화한다.
- Digital Signature
- 송신자는 자신의 private key로 메시지에 서명한다.
- Key exchange
- 양측이 협력하여 세션 키를 교환한다.
- Encryption/Decryption
- 어떤 알고리즘은 위의 3가지 애플리케이션 모두에 적합한 반면, 어떤 알고리즘들은 1~2개만 사용할 수 있다.
- 대칭키에서 key를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해 공개키를 사용할 수 있다. (Key exchange)
Algorithm | Encryption/Decryption | Digital Signature | Key Exchange |
RSA | Yes | Yes | Yes |
Elliptic Curve | Yes | Yes | Yes |
Diffie-Hellman | No | No | Yes |
DSS | No | Yes | No |
RSA(Rivest-Shamir-Adleman) 알고리즘
- -> 공개키 암호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근
- Bit sequence를 정수로 취급해서 연산한다.
- 즉, 어떤 n에 대해 plaintext와 ciphertext를 0~(n-1) 사이의 정수로 표현한다.
- Public-Key = {e, n}
- Private-Key = {d, n}
긴 길이의 메시지는 어떻게 처리할까?
- 메시지를 여러 블락으로 나누고, 각각 public/private key 만들어서 전송하려남? Nope!
- 보통 Hybrid encryption 방식을 이용한다.
- 대칭 키 암호 방식을 이용하되, key를 공개키 암호를 이용하여 공유한다.
- 작동 방식
- 암호 메시지를 보낼때 {C1, C2} 두 개를 보낸다.
- C1: 암호화된 문서
- C2: 암호화된 Key
- C2 = $K^e$ mod n
- 예: Alice가 Bob에게 메시지를 보낸다고 하자.
- Alice는 문서를 암호화할 key를 랜덤하게 생성한다.
- 그 key로 문서를 암호화한다. -> C1 생성
- 그 후, 해당 key를 Bob의 public key로 암호화한다. -> C2 생성
- 이렇게 생성된 {C1, C2}를 Bob에게 전송한다.
- Bob은 자신의 private key로 C2를 복호화해 key를 얻는다.
- 복호화한 key로 C1을 복호화해 plaintext를 얻는다.
- 암호 메시지를 보낼때 {C1, C2} 두 개를 보낸다.
- 왜 이렇게 하나요?
- 메시지가 길어지면, 메시지를 여러 개의 블락으로 나눠야 하고, 암호화 알고리즘을 여러 번 거쳐야 한다.
- 이때,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은 성능이 안 좋기 때문에 느리다.
- 그래서 빠른 대칭키 암호로 많은 양을 암호화시켜 속도를 향상하고,
- 대신 대칭 키 암호에는 안전하게 key를 공유하는데 안전성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공개키 암호를 사용해 안전성을 높였다.
RSA 서명
- 상황: Alice가 Bob에게 계약서를 보낸다고 하자.
- Signature(S) = $M^d$ mod n
- Alice의 private key = {d, n}
- Alice의 public key = {e, n}
- Alice는 Bob에게 {M, S} 쌍을 보낸다. -> {메시지, 서명}
- Bob은 계약서를 받고 서명(S)을 Alice의 public key를 이용해 복호화해본다 -> M = $S^e$ mod n
- 이 작업을 통해 Integrity, Authentication, Nonrepudiation을 모두 보장할 수 있다.
Modular 연산에서 exponentiation
- RSA는 moular에 대해 정수 제곱하는 연산을 많이 한다.
- 아래의 modular 특성을 이용해 효과적으로 계산해보자.
- [(a mod n) x (b mod n)] mod n = (a x b) mod n
- 예: $7^{1000110000}$을 구해보자
지수를 이진수로 표현한다.
즉, $7^1$에 제곱한 것을 $7^{10}$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7^{10001}$은 ($7^{100}$의 제곱)x7이다.
공개키 암호에 대한 오해
- 공개키 암호는 대칭 암호보다 안전하다? Nope
- 암호화 방식 자체가 달라서 그렇다고 얘기할 수 없다.
- 공개키 암호는 대칭 암호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다? Nope
- 성능 자체는 대칭 암호가 훨씬 좋다. 그래서 보통 둘을 섞어서 사용하는 Hybrid 방식을 사용한다.
- 대칭 암호의 키 공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게 공개키 암호이다. 그렇다면 공개키 암호는 키 공유 문제가 전혀 없는가? Nope
- 상대적으로 나은 것이지, 그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된 것은 아니다.
- 대칭 암호는 기밀성이 보장된 상태, 공개키 암호는 무결성과 인증이 보장된 상태로 키 분배해야한다.
출처:
- [Cryptography and Network Security: Principles and Practices]
'Computer 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Public-Key Cryptosystems - Diffie-Hellman/Elgamal cryptographic system/Elliptic curve cryptography (0) | 2020.12.03 |
---|---|
[컴퓨터 보안] Attack against RSA(RSA 공격하기) (0) | 2020.12.02 |
[컴퓨터 보안] Access control and User authentication (0) | 2020.10.27 |
[컴퓨터 보안] 보안 개념 & 기초 (0) | 2020.10.27 |
[컴퓨터 보안] 암호모듈 검증제도, 한국표준블록암호, SEED/ARIA/LEA (0) | 2020.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