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preemption #
- PytestPluginManager
- pytest
- JanusWebRTC
- 달인막창
- JanusGateway
- 티스토리챌린지
- JanusWebRTCServer
- k8s #kubernetes #쿠버네티스
- terminal
- 코루틴 빌더
- mp4fpsmod
- kotlin
- vfr video
- PersistenceContext
- 오블완
- 깡돼후
- JanusWebRTCGateway
- tolerated
- VARCHAR (1)
- table not found
- taint
- python
- 코루틴 컨텍스트
- 개성국밥
- 겨울 부산
- Spring Batch
- Value too long for column
- 헥사고날아키텍처 #육각형아키텍처 #유스케이스
- 자원부족
너와 나의 스토리
Week2 DB - Relational Model 본문
● Hierarchical Model vs Relation Model
- Hierarchical Model
ex)
employee ____|____ | | job history children |
employee ( id, name, birth_date, jobhistory, children) jobhistory ( data, title, salary ) |
*어떤 직원의 job history를 찾으려면 employee 목록에서 찾은 다음 jobhistory에 가서 또 찾아야 한다.
- Relation Model
ex)
relation 1 -> employee ( id, name, birth_date ) relation 2 -> jobhistory ( id, title, salary ) |
* 모두 테이블로 만들고 각각 key가 존재하게 함
● Attribute Types
- domain : attribute set
- atomic : attribute value는 하나의 값이여야한다.
- null : 값이 없을 때 (null은 모든 domain의 멤버이다)
● Keys
: relation 안의 column(=attribute)들은 구분되는 key값을 가진다
- Superkey : 유일한 key값들 중 하나 이상 선택
ex) { ID }, { ID, name } 둘 다 superkey
- Candidate Key : minimal
ex) { ID } // 하나의 요소만으로도 유일한 값을 가진다면 원소의 개수는 1개 (.....맞낭...?)
* Superkey ⊇ Candidate Key
- Primary key : 사용자가 선택한 key
- Foreign key : 어떤 relation에 있는 value는 다른 곳에서도 존재한다
ㄴ Referencing relation
ㄴ Referenced relation
* 뒷부분 추가할 예정
'Data Analysis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 - hashing (0) | 2019.06.01 |
---|---|
DB - indexing (0) | 2019.06.01 |
DB - mySQL 공부 (0) | 2019.04.11 |
DB실습 - JDBC를 이용한 mySQL (0) | 2019.04.06 |
week1 DB - Introduction (0) | 2019.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