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코루틴 컨텍스트
- kotlin
- PytestPluginManager
- Spring Batch
- 티스토리챌린지
- JanusWebRTCGateway
- taint
- 깡돼후
- PersistenceContext
- pytest
- k8s #kubernetes #쿠버네티스
- table not found
- mp4fpsmod
- 헥사고날아키텍처 #육각형아키텍처 #유스케이스
- Value too long for column
- terminal
- 자원부족
- preemption #
- 개성국밥
- 겨울 부산
- VARCHAR (1)
- 오블완
- JanusWebRTCServer
- 코루틴 빌더
- 달인막창
- JanusWebRTC
- tolerated
- python
- vfr video
- JanusGateway
Archives
너와 나의 스토리
[Java] 2020 KAKAO BLIND RECRUITMENT > 문자열 압축: 풀이 & 코드 본문
Algorithm/Programmers
[Java] 2020 KAKAO BLIND RECRUITMENT > 문자열 압축: 풀이 & 코드
노는게제일좋아! 2022. 6. 2. 22:24반응형
문제: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0057?language=java
문제 풀이:
- 변수
- len: S의 길이
- subLen: 압축 단위(길이)
- count: 현재 문자열이 중복된 개수 (앞의 substring과 얼마나 중복되었는가)
- subLen은 최대 len/2이다.
- 1부터 len/2까지 1씩 늘려가며 최적의 압축 단위를 찾는다.
- 1. 현재 위치에서 직전 subString(pre)과 현재 subString(cur)을 비교한다.
- 즉, 현재 위치를 idx라고 할 때 다음과 같다.
String pre = s.substring(idx - subLen * 2 + 1, idx - subLen + 1); // 직전 sub string
String cur = s.substring(idx - subLen + 1, idx + 1); // 현재 sub string
- (pre.equals(cur))인 경우
- count[cur 위치] = count[pre 위치] + 1;
- (!pre.equals(cur))인 경우
- 앞서 중복되었던 문자열들을 처리해 준다.
- result += String(직전 문자열의 중복 횟수).length + subLen
- abcabcabc -> 3abc
- 주의: 이것처럼 중복 횟수가 일의 자리라면 (subLen+1)로 표현할 수 있지만, 십의 자리일 경우 (subLen+2)가 되므로 다음과 같이 처리해 줘야 한다.
- 2. 마지막으로 비교한 문자열은 count 값만 갱신하고 result에 값이 더해지지 않았다.
- 중복 여부에 따라 result 값을 갱신해 준다.
- 3. subLen으로 나누어떨어지지 않는 경우 길이 (len % subLen)를 가지는 마지막 문자열은 무조건 그대로 더해진다.
소스 코드:
import static java.lang.Math.min;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s) {
int answer = 1000;
for (int i = 1; i <= s.length() / 2; i++) {
answer = min(answer, compress(s, i));
}
return answer;
}
public int compress(String s, int subLen) {
int len = s.length();
int result = 0;
int[] count = new int[s.length()];
int idx = subLen * 2 - 1;
while (idx < len) {
String pre = s.substring(idx - subLen * 2 + 1, idx - subLen + 1);
String cur = s.substring(idx - subLen + 1, idx + 1);
if (pre.equals(cur)) count[idx] = count[idx - subLen] + 1;
else {
if (count[idx - subLen] == 0) result += subLen;
else result += String.valueOf(count[idx - subLen] + 1).length() + subLen;
}
idx += subLen;
}
// 마지막 subString에 대한 처리
if (count[idx - subLen] == 0) result += subLen;
else result += String.valueOf(count[idx - subLen] + 1).length() + subLen;
result += (len % subLen); // subLen으로 나누어떨어지지 않아서 압축할 수 없는 문자열
return result;
}
}
반응형
'Algorithm > Programm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2018 KAKAO BLIND RECRUITMENT[1차] > 추석 트래픽: 풀이 & 코드 & 예외 상황 (0) | 2022.06.05 |
---|---|
[Java] 2021 KAKAO BLIND RECRUITMENT > 신규 아이디 추천: 풀이 & 코드 (0) | 2022.06.02 |
[Java] 2022 KAKAO BLIND RECRUITMENT > 신고 결과 받기: 풀이 & 코드 (0) | 2022.06.0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