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PytestPluginManager
- 자원부족
- tolerated
- VARCHAR (1)
- vfr video
- JanusWebRTC
- preemption #
- Value too long for column
- table not found
- mp4fpsmod
- k8s #kubernetes #쿠버네티스
- pytest
- JanusWebRTCServer
- Spring Batch
- 코루틴 컨텍스트
- JanusWebRTCGateway
- 티스토리챌린지
- terminal
- 오블완
- kotlin
- PersistenceContext
- 겨울 부산
- 달인막창
- 깡돼후
- 헥사고날아키텍처 #육각형아키텍처 #유스케이스
- JanusGateway
- taint
- python
- 개성국밥
- 코루틴 빌더
목록Computer Networks/이론 (22)
너와 나의 스토리
이번 단원 목표 network application protocols의 개념적 구현 측면 transport-layer service models client-server paradigm peer-to-peer paradigm ex) torrent 널리 사용되는 application-level protocols을 조사하여 protocols에 대해 배우자 HTTP FTP SMTP/POP3/IMAP DNS network applications 만들기 socket API 2.1 Principles of network applications Creating a network app 프로그램 작성: 다른 end systems에서 작동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예: 웹 서버 소프트 웨어랑 브라우저 소프트웨어랑 통신 ne..
Protocol "layers" Networks are complex, with many "pieces": hosts routers links of various media applications protocols hardware, software 왜 layering 하는가? layer 마다 하는 일이 따로 있다. 복잡한 시스템을 다루기 위해서 명확한 구조를 통해 복잡한 시스템 조각의 식별, 관계 설정 가능 모듈화를 통해 유지 보수, 시스템 업데이트 용이 계층의 서비스 구현이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에 투명하게 변경됨 ex) gate 절차의 변경은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표준화 작업을 통한 '개방형 시스템(Open System)'의 설계 활짝 열고 널리 알려서 많은 사람이 따르도록 유도 ..
loss와 delay가 왜 발생하는가? 패킷들이 라우터 버퍼에서 대기(queue) 중이기 때문 (패킷은 자기 차례가될 때까지 queue) link할 패킷 도착률이 output link 용량을 일시적으로 초과하는 경우 버퍼가 꽉 찼는데 패킷들이 새로 들어오면 drop됨 (loss) buffer가 필요 없는 경우 들어오는 속도보다 나가는 속도가 더 클 때 항상 들어오는 속도가 나가는 속도보다 클 때 (buffer에 무한정 쌓이고 뒤 늦게 들어온건 버려지므로 buffer가 필요없다.) Four sources of packet delay Processing delay: 처리하는 시간 (우선 순위 등에 의한 지연) Queue delay: 큐에 들어오는 순간부터 나갈 때까지의 시간
Network core 상호 연결되는 라우터들의 그물(mesh) packet-switching: 호스트가 애플리케이션 계층 메시지를 패킷으로 분할 source에서 목적지로 가는 경로를 통해 하나의 라우터에서 다음 라우터로 패킷 전달 최대 링크 용량(full link capacity)으로 전송된 각 패킷 Packet-switching: 컴퓨터 네트워크와 통신의 방식 중 하나로 현재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통신 방식이다. 작은 블록의 패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만 네트워크 자원을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 Packet-switching: store-and-forward R bps로 L-bit 패킷을 링크로 보내는데 L/R 초가 걸린다. store and forward: 패킷을 다음 링크..
Network structure: Network edge: hosts: client와 servers servers는 data centers에 있다 Network, Physical media에 접근: wired/ wireless communication links Network core: 상호연결되는 routers network of network backbone(or backbone network) 다양한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일부 각기 다른 LAN이나 부분망 간에 정보를 교호나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 예를 들어, 회사에서 각기 다른 지역에 위치한 여러 부서들을 아우르는 네트워크 연결(ex 이더넷, 무선)을 네트워크 백본이라고 부른다. 백본을 설계할 때 네트워크 혼잡은 고려 대상이다...
What's the Internet: "nuts and bolts" view 수백만 개의 연결된 컴퓨팅 장치(device) : host = end systems 실행 중인 네트워크 앱 모든 디바이스들은 host(=end systems)이라고 불리고, End systems들은 communication links와 packet switches들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다. 한 end system에서 다른 end system으로 데이터를 보낼 때, 데이터를 세그먼트 단위(transport layer에서의 메모리 단위)로 자르고, 이 세그먼트에 헤더 바이트를 붙인다. 이렇게 해서 완성된 패키지를 패킷(network layer에서의 데이터 단위)이라고 부른다. packet은 목적지인 또 다른 엔드 시스템..